반응형
AWS를 CLI로 사용할 때가 있는데요.
잘 안된다면 해당 컴퓨터 혹은 서버 시간을 확인해보세요.
이번에는 우분투 환경에서 time sync 하는 방법을 간단하게 정리해봅니다.
일단 Time Location 부터 맞춰야 하겠죠. 이건 예전에 작성한 포스팅으로 대신할게요 :-)
2015/03/10 - 우분투 서버 타임존(time zone) 변경, 시간 변경
(시간은 중요하죠 !)
ntp라는 툴을 통해서 time sync를 맞출 수 있는데요.
ntp가 없다면 아래와 같이 설치해줍니다.
suto apt-get install ntp
time sync를 맞추기 위해서 ntp를 잠시 정지하고요.
sudo service ntp stop
time sync를 맞춥니다.
sudo ntpdate -s pool.ntp.org
-s에 들어가는 주소는 달라져도 됩니다. 원하시는 ntp server 를 선택해서 작성하시면 됩니다.
ntp를 다시 실행합니다.
sudo service ntp start
ntp라는 것에 대한 위키는 여기를 참고하세요.
반응형
'리눅스 > 우분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서버 재시작 할 때 unable to resolve host 에러 해결하기 in 우분투 (0) | 2018.05.11 |
---|---|
우분투 time sync (0) | 2018.01.19 |
crontab : daily, weekly, monthly example (0) | 2017.05.06 |
wget 으로 파일 다운로드할 때 주의할 점 하나 (0) | 2017.03.09 |
imagemagick 예제 여러개 (0) | 2016.12.26 |
wget으로 웹 이미지 폴더/파일 다운로드하기 (1) | 2016.07.31 |
리눅스, 맥 - grep 활용 파일안에서 문자열 찾기 (0) | 2016.05.07 |
Ubuntu Boot Order (우분투 부팅 커널 변경) (1) | 2015.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