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윈도우와 리눅스 파일 교환은 어떻게 하시나요? ^ ^
몇 가지 방법이 있는 것 같아요.
1. winscp 사용하기
저는 주로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winscp 입니다.
많이들 사용하고 계시지요? ㅎㅎ
Fig. 1. WinSCP homepage : www.winscp.net
위 사이트에 들어가시면 무료로 사용 할 수 있는 파일을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설치는 default로 하시면 되구요.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어요.
Fig. 2. WinSCP 실행화면 1.
새로만들기를 누르셔서, 리눅스 서버 정보를 입력하시면 로그인 하실 수 있습니다. 즉 아래와 같이 말이죠.
Fig. 3. WinSCP 실행화면 2.
위 그림에서 왼쪽이 윈도우, 오른쪽이 리눅스 입니다. 간단하게 마우스로 끌어서 파일을 전송하실 수 있거든요.
매우 편리하죠 ^ ^
아 !! 우분투, 페도라 관계없어요. 윈도우에만 설치하시고, 사용하시는 서버가 scp 포트가 열려있으면 가능하겠죠?
2. Dropbox 사용하기
드롭박스는 설명이 필요없는 점점 더 필수적인 서비스가 되는 것 같습니다.
혹시 아직 사용하지 않으신다면 반드시 한 번은 사용해보시길 권장드립니다. 매력이 넘치는 서비스에요 ^ ^ ㅎ
Fig. 4. Dropbox Homepage : https://www.dropbox.com
가입하시고, 윈도우와 리눅스에 모두 설치하시면 파일 교환이 가능하죠.
하지만 dropbox 폴더에 옮겨지는 것이고, 데이터 전송은 WinSCP가 더 빠르다는 점을 참고하시면 될 것 같아요.
WinSCP는 윈도우와 리눅스 파일 교환을 위한 서비스이고, dropbox는 모바일, 데스크탑, 머든지 상관없이, 맥도 관계 없이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는 점.
아무튼 파일 교환에도 사용 할 수는 있다는 점이에요 ㅎㅎ
3. USB를 사용한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 ㅋㅋㅋㅋㅋ
WinSCP 쓰세영; ㅎ
또 다른 방법으로, 다른 서비스, 소프트웨어, 머가 있을려나영?
'리눅스 > 깃,쉘'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USB install (USB로 CentOS 설치하기) (2) | 2014.05.22 |
---|---|
CentOS eth0 setting (터미널에서 인터넷 설정) (0) | 2014.05.22 |
CentOS hostname change(변경) (0) | 2014.05.21 |
윈도우 리눅스 파일 교환(전송) (0) | 2013.05.03 |
리눅스 기본 명령어 (계속 추가 예정) (0) | 2013.04.30 |
리눅스 프로세스 중단, 제거, 중지 - Kill (0) | 2012.11.02 |
리눅스 yum 사용법 (0) | 2012.10.29 |
리눅스 패널에 모니터링(CPU, Memory, Network) 추가하기 (0) | 2012.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