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iOS switch 예제 간단한 것을 해보려고요.
스토리보드를 활용하도록 하겠습니다.
1. 예제를 위해 single view로 프로젝트를 하나 생성한다.
2. 스토리보드 (Main.storyboard)를 선택하고 스위치와 라벨을 하나 씩 View에 마우스로 끌어서 추가한다.
그럼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겠죠?
자 그럼 위 그림에서 오른쪽 상단에 있는 빨간박스 부분을 클릭하시면
화면이 분활되면서 소스코드와 UI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3. UI의 소스코드 연결
소스코드 중에서 viewController의 헤더를 선택하시구요. 아래 그림과 같이요.
그 다음에 스위치에 마우스 올리시고, Ctrl 키 누르고 끌어서 소스코드로 이동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스위치는 액션만 테스트하려고 하기 때문에 아래 그림과 같이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Connection을 Action으로 Name은 자유롭게 작성하시고, Type은 UISwitch로 해주시면 되겠죠? :)
다 입력하신 다음 Connect 클릭!!
Label은 스위치가 현재 On인지, Off인지를 나타내기 위함입니다. 예제니깐 추가하는 것이구요. :)
Label은 아래와 같이 설정해주세요.
Label은 액션이 아니라 Outlet으로 연결해서, 테스트하겠습니다.
Name역시 적당한 것으로 입력해주시고, Type은 UILabel로 해주시고 Connect 클릭!!
위 그림들과 동일하게 이름을 작성하셨으면 header 파일에는 아래 그림과 같이 소스코드가 생성되어 있습니다.
4. m 파일에 소스코드 추가하기.
결론적으로 m 파일은 이런 형태가 될 것입니다.
복사하시는 분도 계실 수 있으니깐. 소스코드요.
#import "STViewController.h"
@interface STViewController ()
@end
@implementation STViewController
@synthesize switchStatus;
- (void)viewDidLoad
{
[super viewDidLoad];
// Do any additional setup after loading the view, typically from a nib.
switchStatus.text = @"....";
}
- (void)didReceiveMemoryWarning
{
[super didReceiveMemoryWarning];
// Dispose of any resources that can be recreated.
}
// 아래 우리가 스위치에 대한 액션을 추가해준 소스코드가 생성되었고, 그 안에 스위치의 on, off에 따라서
// Label의 text를 변경해주는 것입니다.
- (IBAction)switchTest:(UISwitch *)sender
{
if (sender.isOn)
{
switchStatus.text = @"on";
}
else
{
switchStatus.text = @"off";
}
}
@end
5. 테스트
'맥, i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iOS 개발에 필요한 사이트 정리 (0) | 2014.02.18 |
---|---|
iOS - int, double, float -> 문자열(NSString) 변환 (0) | 2014.01.15 |
iOS - 문자열(NSString) -> int, double, float 변환 (0) | 2014.01.15 |
iOS - switch example (스위치 간단 예제) (0) | 2014.01.14 |
iOS - 문자열(NSString) 결합(더하기, 합치기) (0) | 2014.01.13 |
iOS - 문자열(NSString) 같은지 비교 (0) | 2014.01.13 |
iOS - 버튼 이벤트 처리하기, 스토리보드(storyboard) 이용 (0) | 2014.01.03 |
iOS library 002 - MBProgressHUD (progress ...) (0) | 2013.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