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클립스라는 IDE는 정말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 같아요.
저도 가끔 사용하고 있는데요. 자주는 아니지만 Remote Project를 생성해서 테스트를 수행하고 합니다.
Remote Project를 생성하기 전에 하는 Remote System Explorer에 대해서 간단하게만 정리하려고 합니다.
다만! 여기서 접근하려는 서버는 ID와 비번을 입력하고 접속하는 것이 아니라key를 이용해서 접근한다는 점이 이번 포스팅의 목적입니다.
일반적인 연결은 다른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1. 어떤 경우에 사용하나요?
클라우드와 같은 환경에서 생성한 리눅스 서버에 이클립스의 Remote System Explorer로 접근하고자 할 때 사용하시면 됩니다.
2. Remote System Explorer에서 새로운 Connection을 만들어주세요.
모두 Default로 생성하시면 됩니다.
3. Port 번호를 변경합니다. 22도 상관없지만 혹시 22를 다른 곳에서 쓰고 있는 경우에는 Port 번호를 변경하셔야죠.
혹은 공유기를 통해 접근해야 하면 포트포워딩을 찾아보셔서 Port를 변경하시면 됩니다.
4. 인스턴스에 접근할 때 사용하는 pem 파일을 이클립스가 설치된 곳으로 복사해주세요.
Eclipse - Window - preferences 에서 ssh를 검색하시구요.
Add Private Key를 통해서 pem 파일을 추가해주세요.
5. 이제 ssh connection을 수행하시면 됩니다.
당연히 비번은 입력하지 않아도 되요.
ID만 잘 맞으면 되겠죠.
'리눅스 > 우분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바탕화면에 바로가기 만들기 (0) | 2015.01.03 |
---|---|
우분투 블루투스 마우스 연결(재시작도 가능) (0) | 2015.01.03 |
우분투(ubuntu) workspace 개수 조절하기 (0) | 2015.01.03 |
Eclipse Remote System Explorer using key (0) | 2014.12.24 |
리눅스 환경변수 설정, 해제 (0) | 2014.11.17 |
리눅스에서 war 압축풀기 (0) | 2014.11.07 |
최신 커널 업데이트 스크립트 (우분투용) (0) | 2014.11.06 |
최신 커널로 업데이트하기 - 우분투 (0) | 2014.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