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을 사용하면 매우 편리하다.
나도 자주 사용하고 있지만 비공개 저장소를 만들기 위해서는 일정 금액을 지불해야 한다.
좋은 서비스니깐 향후에는 지불할 의사가 분명이 존재한다.
하지만 아직 별로 비공개로 만들 것도 없고 ^^ 거의 켜져 있는 자체 서버가 있기 때문에 여기에 Git Base Repository를 구축했다.
용어가 맞는지는 모르겠다. Git Base Repository?? 어차피 내가 보기 위해 정리하는 것이니깐 상관없으려나..
아무튼 정식 용어는 아니다. 검색해보기가 귀찮아서 ㅠ
일단 목표하는 상황은 아래와 같다.
Git Base Repository : /home/ngee/git
new repository : glaemfek (한글로 힘들다)
ServerIpAddress : 192.168.0.2 (그냥 아래 예를 위한 가상 아이피/어차피 공유기 아이피라...)
---------------------------------------------------------- Git Base Repository Server ------------------------
1. mkdir /home/ngee/git
2. mkdir /home/ngee/git/glaemfek
3. cd /home/ngee/git/glaemfek
4. git init --bare --shared
---------------------------------------------------------------------------------------------------------------------
---------------------------------------------------------- External Server --------------------------------------
1. git clone ngee@192.168.0.2:/home/ngee/git/glaemfek
2. git add .... git commit - m "glaemfdj" ..... git push origin master
---------------------------------------------------------------------------------------------------------------------
*추가
git push 할 때 마다 비밀번호 입력하라는 것이 귀찮으면
External Server에서 공개키 하나 만들어서 Git Base Repository Server에 입력해두면 된다.
공개키 만드는건 ssh-keygen ... 입력하는 건 ssh-copy-id 를 이용하면 간단.
신난다 잘된다.
'리눅스 > 깃,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놀로지(Synology) SSH 활성화 방법 (0) | 2015.03.01 |
---|---|
GitHub 미세먼지 팁 003 - git config file (0) | 2015.02.04 |
bash shell script - delete multiple lines using sed (0) | 2015.02.01 |
자체 Git Base Repository Server 만들기 (0) | 2015.01.26 |
SVN GUI tool installation on Ubuntu 14.04 (0) | 2015.01.20 |
bash shell script - execute command line application as another user (0) | 2014.12.09 |
bash shell script - insert multiple lines using sed (0) | 2014.12.09 |
bash shell script - execution location (0) | 2014.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