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에 영어랑 한글이랑 잘 맞지는 않지만 아무튼 시작해보겠습니다.
참고1. Ubuntu에서만 테스트해봐서 다른 리눅스들은 어떤지 잘 모르겠습니다.
참고2. 여러 개의 Kernel (커널)이 설치되었을 때 내가 원하는 커널로 부팅하기 위한 내용입니다.
1. 일단 아래와 같은 파일을 열어봅니다.
보시는 것과 같이 vi /etc/default/grub 파일입니다.
기본적으로는 GRUB_DEFAULT=0 으로 되어 있는데
저는 GROUB_DEFAULT="1>2" 로 설정한 상태입니다.
0은 무엇이고 "1>2"가 무엇인지 알아내는 것이 이번 포스팅의 목적이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2. 위 파일은 닫고 아래 파일을 열어봅니다.
vi /boot/grub/grub.cfg 파일입니다.
열어서 쭉 아래로 내리다 보면 menuentry 라고 시작하는 라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
첫번째 나오는 menuentry 가 GRUB_DEFAULT=0 으로 설정했을 때 사용되는 커널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그 아래 submenu는 GRUB_DEFAULT의 값을 1로 줬을 때 이죠!!
submenu는 menuentry를 하위에 포함하고 있습니다.
포함되는 menuentry는 다시 0, 1, 2, 3 이렇게 숫자가 정해집니다.
menuentry를 잘 보시면 kernel 버전에 대한 정보가 있습니다.
예로 "1>0" 은 Linux 3.16.0-52-generic 이고 "1>1"은 Linux 3.16.0-52-generic (recovery mode) 입니다.
위 그림이 길어져서 제가 설정한 "1>2"는 잘려서 표현은 안되지만 GRUB_DEFAULT에 어떤 값을 입력해야 하는지 감만 잡으시면 될 것 같습니다.
2번 파일은 확인만 하고 수정은 하지 마세요. 2번 파일에서 확인해서 1번에 반영하는 것입니다.
3. 마지막입니다.
update-grub 명령어를 통해 수정한 내용을 반영합니다.
그런다음에 reboot 하세요. uname -a 로 현재 커널 버전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쉬운 내용이지만 저도 금방 까먹어서 정리해봤습니다 ^^
'리눅스 > 우분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magemagick 예제 여러개 (0) | 2016.12.26 |
---|---|
wget으로 웹 이미지 폴더/파일 다운로드하기 (1) | 2016.07.31 |
리눅스, 맥 - grep 활용 파일안에서 문자열 찾기 (0) | 2016.05.07 |
Ubuntu Boot Order (우분투 부팅 커널 변경) (0) | 2015.11.08 |
주기적으로 명령어 실행하기 (폴더의 파일 변화 확인하기) (0) | 2015.09.01 |
우분투에서 Telegram(텔레그램) 한글 입력 (3) | 2015.08.21 |
ubuntu - stopping userspace bootsplash (0) | 2015.08.04 |
우분투 데스크톱배경화면 바꾸기 (0) | 2015.07.02 |